정선 알파인 경기장 관련 현안보고 장도현 강원취재본부장 alwk1067@naver.com |
2018년 10월 19일(금) 19:03 |
|
|
|
올림픽 유산인 알파인 경기장 일방적 복원은 또 다른 희생 강요로 인식
일방적 경기장 복구방향 결정 및 지역 의견 무시 전략에 불만 표출
알파인 경기장 복구의 문제점
▶ 복원 약속이행을 이유로 지하구조물 등 철거 시 2차 훼손 심각
▶ 인위적 복원과 자연복원에 대한 구체적 비교 판단 자료 부재
⇒ 검증 없는 무조건적인 완전복구는 합리적 대안이 아니며 현재의
자연복원 진행 과정 모니터링 시간 필요
⇒ 수천억을 투자한 시설을 일방적 요구에 철거한다는 것도 동의
할 수 없음(최소 활용 가능한 시설은 존치·활용하여야 함)
【알파인 경기장 주요 지하 매설물 현황】
① 대형암거(364m), 제설관(직경 30mm/5.4km), 우수관(2.3km)
② 곤돌라(3.5km / 기초 콘크리트 41개소 / 승하차장 기초 10개소)
③ 전기통신선(27km)
※ 리프트 및 곤돌라 재활용 불가 고철처리
※ 인공구조물 및 지하 매설물 철거 : 폐기물 약 7만톤
※ 지형복원 토공량 : 약 35만톤(경기장 재건설 규모)
2. 지난한 갈등 해결을 위하여
▶ 일방적 복원계획은 철회하고 전향적인 자세로 주민대화 필요
▶ 청와대 또는 총리실 주도하에 민관 협의기구 조속히 구성
3. 알파인 경기장 활용계획(정선군)
1) 산림복지단지 및 생태관광지 조성
○ 조성여건 : 복원과 연계한 하단부 산림레포츠시설 등 활용
○ 사 업 량 : 치유의 숲, 산림교육센터, 산림레포츠단지,
가리왕산 생태탐방 관광(곤돌라 활용) 등
○ 재 원 : 국비 / 5년간 조성
○ 활용방안 : 대국민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산림생태교육장 등
2) 국립 산림생태복원센터 조성(제6차 산림기본계획)
○ 조성여건
- 산림생태계복원 중요성이 국제적 이슈로 등장 – 국가적 과제 수행
- 대규모 장기복원 대상인 알파인 경기장 활용 – 연구 · 복원 추진
○ 사 업 량 : 산림생태복원센터 조성
○ 재 원 : 국비 / 10년간 조성
○ 활용방안 : 산림생태복원 연구, 산림유전자원 관리, 생태교육 등
장도현 강원취재본부장 alwk106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