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추가 2025.07.28(월) 18:06
탑뉴스 최신뉴스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연예 전국뉴스 문화 세계 뉴스
경북도, 낙동강 상․하류 맑은 물 공유... 공동 발전의 디딤돌로 삼자
- 이철우 도지사, 대구․경북은 지리적․정서적 공동체, 원팀 정신으로 풀어야 -
CNB 국회방송 산림전문 서경수 기자 ecnb@daum.net
2022년 08월 17일(수) 19:58
이철우 도지사는 영남권 식수원 해결 방안의 하나로 추진하고 있는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에 대해 대구․경북이 원팀 정신을 바탕으로 상생 발전토록 구체적인 방안 마련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이달희 경제부지사를 단장으로 민․관 TF를 구성해서 전문가, 주민 등 각계의 의견을 듣고, 해외 사례를 조사하는 등 실행방안 마련에 나서고 간부공무원을 환경부에 보내 정부 차원의 노력을 촉구했다.

최근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대구 취수원의 구미(해평) 이전안은 오랫동안 정부와 낙동강 상․하류 기관들이 합의하고, 전문가들의 타당성 연구․검토를 거쳐서 금년에 국책사업으로 채택*되어 추진되고 있는 사안이다.

*’22.6. 예타 통과, ’22년 하반기 기본계획 수립, ’23~’24년 기본․실시설계, ’25년 착공, ’28년 준공

낙동강에서 취수한 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대구는 오래 전부터 취수원 이전을 희망해 왔다. 그러나 2010년 구미와 안동댐이 검토되었으나 경제성이 부족한 것으로 결론이 나서 무산된 이후 뚜렷한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다가, 지역의 건의로 2018년 정부가 대구경북은 물론이고, 부산, 울산, 경남 등 낙동강 수계 전체에 대한 물관리 방안 마련에 나서면서 해결의 물꼬를 텃다.

그후 2019년 정부와 영남권 시․도지사들의 합의(‘18.10.18. 협약 체결)하에 구미와 임하댐을 대상으로 물 관련 전문기관의 연구․검토를 거친 결과 구미광역취수장이 있는 구미시 해평면이 타당한 것으로 결론 났다.

그리고, 정부, 해당 지자체, 전문가, 시민대표 간 논의를 거쳐 대구시가 낙동강에서 취수하고 있는 60만여 톤 중 30만 톤을 구미광역취수장으로 이전하기로 합의하고, 지난 4월 4일에 환경부․대구시․경북도․구미시, 수자원공사가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서‘를 체결하면서 급물살을 타는 듯 했다.

그러나, 지난달 1일 민선8기 출범 이후 구미시는 해평취수원 보다 오염 우려가 적은 안전한 식수원 확보를 위해 당초 보다 상류로 이전할 것을 제안하고, 대구시는 낙동강 상류인 안동댐으로부터 물을 공급 받는 방안을 검토하고 나서면서 그동안 어렵게 마련한 대구 취수원 이전 계획이 수포로 돌아가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이철우 도지사는 “취수원 다변화 문제는 주민들의 삶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인 만큼 주민들의 의견이 가장 중요하며. 시간이 걸리더라도 토론과 합의 등 공론화의 과정을 차근차근 거치는 것이 시행착오를 막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향후 대구경북협의체도 구성하여 공감대 형성될 때까지 소통할 수 있도록 하고 정부와도 협의를 계속해 나가겠다”고 말하며 이 과정에서 충분한 역할을 할 것임을 밝혔다.

아울러, “이제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해법을 제시하고 전면에 나서야 할 때이다. 하류 지역에는 맑은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상류 지역에는 발전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정부가 확실하게 보증하고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해 줄 것을 촉구 한다”고 말했다.

CNB 국회방송 산림전문 서경수 기자 ecnb@daum.net
독자 의견 (0개)
이 름 비밀번호
제 목
내 용
회사소개조직도회원약관개인정보보호정책제휴문의고충처리인광고문의기사제보
CNB국회방송(www.ecnb.co.kr)등록번호 : 서울 아00929등록일 : 2012년 10월 22일 발행인,편집인 : 윤호철청소년보호책임자 : 윤호철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70길 15-1번지 극동VIP빌딩 705호대표전화 : 02)535-2077(代) | Fax.02-535-2066, 070-4229-3008
[ 국회방송]를 통해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무단 사용, 복사, 배포 시 저작권법에 저해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