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추가 2025.07.27(일) 21:21
탑뉴스 최신뉴스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연예 전국뉴스 문화 세계 뉴스
구자근의원, 국가전략기술에 로봇, 원전산업 포함 법개정안 추진
올해 한해만 시행되는 임시투자세액공제 , 3 년 확대하는 방안도
적극적인 기업투자 , 일자리 창출 제도적 뒷받침 마련해야
CNB 국회방송 경북총괄취재본부 문효재 기자 ecnb@daum.net
2023년 05월 25일(목) 12:53
구자근의원 ( 국민의힘 , 경북구미시갑 ) 이 신성장 · 원천기술인 로봇과 원자력을 미래 산업으로 이끌어갈 분야로 가장 높은 세액공제율을 적용받는 국가전략기술로 포함 시키는 법개정안을 추진한다 . 또한 국내 기업들의 투자 촉진을 유도하기 위해 올해 한해 동안만 시행되는 임시 투자 세액공제를 3 년으로 확대 시키는 방안도 같이 포함할 예정이다 .

국회 첨단전략산업특위 소속 구자근의원은 대한민국의 미래산업으로 로봇산업과 원자력을 국가략기술에 포함시키기 위한 「 조세특례제한법개정안 」 을 마련한 만큼 조만간 국회에 제출 할 예정이다 .

현재 반도체 ・ 이차전지 ・ 백신 등 국가전략기술과 관련된 시설에 투자하는 경우 대기업 · 중견기업은 15%, 중소기업은 25% 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하지만 로봇산업과 원자력은 국가전략기술에 해당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낮은 3% ~ 12% 의 세액공제율에 머무르고 있다 .

구자근 의원이 국회도서관 해외문헌 조사를 통해 분석한 해외자료에 따르면 , 전세계적으로 로봇산업을 핵심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미국은 제조업 부흥을 위한 ‘ 첨단제조 파트너십 (AMP, `11. 6 월 )' 의 일환으로 ‘ 국가 로봇계획 (National Robotics Initiative)' 추진이다 . 일본은 아베노믹스 성장 전략의 핵심 정책으로 범정부차원의 ‘ 로봇 新 전략 ' 발표했고 , 중국도 중국 10 대 산업 육성 계획 (‘ 제조 2025 계획 ', 국무원 ) 의 핵심 산업분야로 로봇을 선정한 바 있다 .

자료에 따르면 2021 년 매출액 기준 세계 로봇시장 규모는 약 284 억 불로 , 2020 년 245 억 불 대비 16% 성장하였고 , 최근 6 년간 연평균 약 11.2% 의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다 . 국내도 2021 년 매출액 기준 로봇시장 규모는 5.6 조 원으로 , 최근 6 년간 연평균 약 4.1% 성장 추세이며 , 서비스용 로봇 및 로봇부품 시장이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 .

원전산업도 경우 지난 이명박 정부 기간인 2009 년 한국은 아랍에미리트 (UAE) 원전 4 기를 수주하며 수주액만 200 억 달러 (23 조원 ) 에 달하는 등 외화를 벌어들였다 . 그러나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국내 원전산업은 붕괴되었고 지난 10 여 년간 토종원전 수출 실적도 전무한 상황이다 .

구자근 의원은 “RE100 등 탄소중립 흐름 속 절대적 대안으로 꼽히던 재생에너지의 한계와 부작용으로 인해 전세계는 다시 원전을 주목하고 있다 ” 고 밝혔다 . 이에 “ 원전도 청정에너지원으로 포함시키는 CF100 가 주목받고 있는만큼 탄소중립과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전략기술로 포함할 필요가 있다 ” 고 법개정 취지를 밝혔다 .

올해 3 월말 국회법통과를 통해 12 월까지 시행되는 임시투자세액공제 지원에 대해서도 향후 3 년간 제도를 연장하는 법개정도 같이 진행할 예정이다 . 임시투자세액공제는 기업이 투자하면 투자액의 일정 비율만큼 소득세 · 법인세에서 공제받는 제도이다 .

구자근 의원은 “ 갑작스러운 임시투자세액공제 제도 시행에 이어 올해말 투자 세액공제 혜택이 끝나면 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와 일자리 창출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 고 밝히고 임시투자세액공제 적용을 3 년 더 연장하도록 법개정을 추진한다.

실제 임시투자세액공제는 1982 년 처음 도입된 이래 2009 년까지 20 년에 걸쳐 총 5 차례 동안 시행되다 . 그동안 임시투자세액제도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시행 첫해인 1 차 (1982 년 ) 만 제외하고 , 2 차 ~5 차까지 모두 다년간 운영되어 왔다 (2 차 1985~1986 년 , 3 차 1989~1994 년 , 4 차 1997~2000 년 6 월 , 5 차 2001~2009 년 ).

구자근의원은 “ 최근 전기차와 수소 생산시설을 국가전략기술에 포함시킨만큼 미래산업의 핵심인 로봇과 원자력도 미래핵심산업으로 포함시켜야 한다 ” 며 “ 국가핵심산업의 집중 육성과 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이끌어 내기 위한 제도개선에 적극 나서겠다 ” 고 밝혔다 .

CNB 국회방송 경북총괄취재본부 문효재 기자 ecnb@daum.net
독자 의견 (0개)
이 름 비밀번호
제 목
내 용
회사소개조직도회원약관개인정보보호정책제휴문의고충처리인광고문의기사제보
CNB국회방송(www.ecnb.co.kr)등록번호 : 서울 아00929등록일 : 2012년 10월 22일 발행인,편집인 : 윤호철청소년보호책임자 : 윤호철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70길 15-1번지 극동VIP빌딩 705호대표전화 : 02)535-2077(代) | Fax.02-535-2066, 070-4229-3008
[ 국회방송]를 통해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무단 사용, 복사, 배포 시 저작권법에 저해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